번데기 간호사님의 블로그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PPROM)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본문

여성간호학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PPROM)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번데기 간호사 2025. 1. 26. 11:41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

오늘은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PPROM)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PPROM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간호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PROM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PPROM)>

: PPROM은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의 약자로,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조기 파열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양막의 파열은 분만 진통이 시작된 이후에 일어나지만, PPROM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됩니다. 이는 조산 및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기 양막 파열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된 경우를 의미하며, 특히 임신 37주 이전에 발생하면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이라고 합니다.

 

(1) 병태생리

 PPROM의 병태생리는 양막의 구조적 약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양막은 태아를 보호하고 양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염증이나 감염,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세균 감염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콜라겐 분해효소와 같은 효소가 활성화되어 양막의 결합 조직이 약화됩니다. 이로 인해 양막이 조기에 파열될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원인

 PPROM의 원인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포함됩니다.

- 감염: 세균성 질염, 양막염과 같은 생식기 감염 등.

- 기계적 요인: 자궁 과팽창(다태임신, 다량양수증), 자궁경부무력증 등.

- 임부의 과거력: 이전에 PPROM이나 조산 경험이 있는 경우.

- 흡연 및 약물 사용: 흡연, 약물 남용은 양막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영양 부족: 특히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제가 결핍된 경우.

- 자궁 내 술기: 양수천자, 자궁내 수술 등.

 

(3) 증상

 PPROM의 증상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질을 통해 투명하거나 약간의 혈액이 섞인 액체(양수)가 갑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양막 파열로 인해 자궁수축이 동반될 수 있으며, 감염이 발생할 경우 발열, 복부 압통, 질 분비물 악취, 그리고 태아 심박수의 증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수량이 감소하면서 태아의 움직임이 줄어들거나 불규칙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다.

 

(4) 진단

 PPROM의 진단은 산모의 주관적 증상과 객관적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질을 통해 흐르는 액체가 양수인지 확인하기 위해 질 내 분비물의 pH를 측정하거나 니트라진 검사(nitrazine test)를 시행합니다. 양수의 pH는 일반적으로 높은 반면, 질 분비물은 더 산성입니. 또한 페리네이션 검사로 양수를 현미경 관찰하면 특유의 고사리 잎 모양의 결정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양수지수(AFI)를 측정하여 양수 감소를 평가하고 태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CRP, WBC)와 질 분비물 배양 검사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5) 치료

 치료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 및 임신 주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임신 34주 이상인 경우, 분만을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태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그러나 34주 미만에서는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며, 감염 예방과 합병증 관리가 치료의 핵심이 됩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예방하고 양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태아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조산을 지연시키는 약물을 투여하여 태아의 생존율을 높입다.

 

(6) 간호

 간호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감염 예방, 상태 모니터링, 산모의 심리적 지지를 포함합니다.

-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손 위생을 철저히 하고 불필요한 내진을 최소화하며, 항생제 투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 전자태아모니터링을 활용하여 태아 심박수와 자궁수축을 관찰하며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 성장과 양수량을 정기적으로 평가합니다.

- 산모의 안위를 위해 침상 안정을 유지하고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상담과 지지 활동을 제공합니다.

- 산모가 PPROM과 관련된 증상이나 감염 징후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분만 후 신생아 관리와 조산 관련 합병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다학제적 팀과 협력하여 조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패혈증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와 대처 방안을 마련합니다


오늘은 PPROM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PPROM 대상자에게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을 소개하도록 할게요!

번데기 간호사는 더 열심히 공부해서 돌아올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