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간호사님의 블로그

[혈액계] 혈액의 구조와 기능 ㅣ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골수, 비장, 간 본문

성인간호학

[혈액계] 혈액의 구조와 기능 ㅣ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골수, 비장, 간

번데기 간호사 2025. 1. 28. 09:23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

오늘은 혈액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골수, 비장, 간에 대해 차근차근 공부해봅시다.


 

혈액의 구조와 기능


<혈액의 구조와 기능 >

1. 혈액 (Blood)

 혈액은 신체를 순환하며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면역 방어와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결합 조직입니다. 혈액은 크게 혈장과 혈구로 구성됩니다.

혈액의 구조와 기능

 


1) 혈장 (Plasma)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거한 액체 부분으로, 혈액의 약 55%를 차지합니다. 혈장은 주로 물(90%)과 단백질, 전해질, 가스, 영양소, 비타민, 노폐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혈장은 영양소와 호르몬을 운반하고, 체온과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며, 혈액 응고에 관여합니다.

- 혈장단백질 :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2) 혈구 (blood cell)

 혈구는 혈액의 약 45%를 차지하는 고형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됩니다.

 

(2) 적혈구 (RBC)

 적혈구는 혈액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혈액 구성성분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적혈구는 원반 모양이며, 이 구조는 전체 표면적을 넓혀 효율적인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적혈구 수의 정상 범위는 450~580만/μL이며, 남성과 여성에서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적혈구의 주요 기능은 산소 운반입니다. 적혈구는 혈색소(헤모글로빈, hemoglobin)이라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혈색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폐에서 조직으로, 조직에서 이산화탄소를 다시 폐로 운반합니다. 또,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약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이후 적혈구는 망상내피계, 특히 비장과 간에서 파괴되어 혈색소의 성분이 분해됩니다. 혈색소는 heme과 globin으로 분해되고, heme은 철분과 빌리루빈으로 분해됩니다. 철분은 골수로 돌아가 재사용되고, bilirubin은 담즙으로 배설됩니다.

 

(3) 백혈구 (WBC)

 백혈구는 면역 방어를 담당하는 세포로, 외부 병원체나 감염과 싸우는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원형질 내 과립의 유무에 따라 과립구와 무과립구로 분류되고, 과립구는 다시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로 분류되며, 무과립구는 림프구와 단핵구로 나누어집니다.

 백혈구의 정상 범위는 4,000~10,000개/mm³이며, 호중구는 50~70%, 호산구 2~4%, 호염기구는 2% 이하, 림프구는 20~40%, 단핵구는 4~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호중구 (Neutrophils)

- 가장 많은 백혈구 종류

- 박테리아를 포함한 세균 감염에 가장 먼저 반응하여 포식작용(식균작용)을 함.

- 감염이 있을 때 염증 반응을 유발함.

 

• 호산구 (Eosinophils)

-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여 염증반응을 활성화 함.

- 기생충 감염 시 반응함.

- 증가 시 알레르기 질환이나 기생충 질환, 또는 자가면역질환 등을 의심.

• 호염기구 (Basophils)

-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함.

- 히스타민, 염증매개물질을 혈중으로 분비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함.

 

림프구 (Lymphocytes)

-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반응하며, T세포(세포 면역 반응을 담당하여 감염된 세포를 파괴)와 B세포(항체를 생성하여 병원체를 중화하거나, 이를 표적화하여 공격)로 구분됨.

 

단핵구 (Monocytes)

- 감염반응 후기에 세균, 죽은 세포, 이물질 등을 포식하여 청소하는 역할을 함.

- 단핵구는 크게 성장하여 대식세포가 됨. 

 

(3) 혈소판 (Platelets)

 혈소판은 핵이 없는 세포 파편으로, 혈액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출혈이 발생하면 혈소판이 모여서 혈전을 형성하여 출혈을 멈추게 하며 혈관 손상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소판의 정상 수치는 약 150,000~450,000개/μL입니다.


2. 골수

 골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세포를 생산하는 조혈기관입니다. 골수는 대부분 뼈 속, 특히 넙다리뼈, 엉덩이뼈, 등뼈에서 발견됩니다. 이곳은 혈액 세포들이 생성되는 주요장소입니다.

 골수는 적골수와 황골수로 분류됩니다. 적골수에서는 혈구세포를 생산하나 황골수는 대부분 지방으로 구성되어 혈구세포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어린이나 성인의 골수는 적골수이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적골수가 황골수로 바뀝니다. 골수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빈혈, 백혈병, 골수부전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비장

 비장은 조혈조직으로서 혈구의 생성과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장은 태아기 동안에 적혈구를 생산합니다. 비장은 오래된 적혈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비장은 면역 체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병원체를 탐지하여 항체를 생성합니다. 비장은 혈액을 일정량 저장하고 있어, 필요할 때 혈액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비장이 손상되거나 비대해지면 비장비대나 비장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간

간은 지혈과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응고인자를 형성합니다. 간은 혈장단백질과 응고인자, 호르몬 등 다양한 단백질을 합성합니다. 이 외에도 간은 포르피린을 빌리루빈으로 전환시키고, 철분을 페리틴의 형태로 저장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간염, 간부전, 간경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황달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혈액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혈액계에 포함되는 다양한 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네요!

다음엔 혈액계 질환에 대해서 하나하나 더 깊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ㅎㅎ

늘 공부하느라 고생 많으신 전국의 학생 간호사,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

번데기 간호사가 응원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