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간호사님의 블로그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ㅣ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만성 통증 본문

간호과정 (case study)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ㅣ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만성 통증

번데기 간호사 2025. 1. 10. 10:01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

지난 번에는 말초동맥질환에 대해 공부해보았는데요.

오늘은 말초동맥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과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간호 진단, 관련 요인, 주관적 및 객관적 자료,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까지 알아봅시다.

함께 가보시죠!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1. 잘못된 생활 습관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1. 잘못된 생활 습관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주관적 자료 - “담배를 피면 어지러워요.”
- “두통이 빈번히 있어요.” 
-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들어요.”
- ”뒷골이 울려요.“
- ”다리 털이 점점 없어지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BP : 163/91mmHg
- 흡연력 : 2-3pack/day for 45y
- Dx : CAD, PAD
- OP :관상동맥우회술 4회 3년 전
- Cholesterol : 235mg/dL
- Triglycerides : 150mg/dL
- HDL : 28mg/dL
- LDL : 181mg/dL
간호 목표 1)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이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흡연의 위험성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2) 장기 목표
- 대상자는 3개월 이내에 금연할 것이다.
- 대상자는 3개월 이내에 혈압이 정상 범위로 돌아올 것이다.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① 대상자의 v/s을 8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혈액 검사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 LDL수치를 사정한다.

2) 치료적 지시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니코틴 패치를 적용한다.
② 의사의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bupropion을 투한다.

3) 교육적 지시
① 대상자에게 혈압 감소를 위한 식이 조절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② 대상자에게 흡연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장기 흡연은 호흡 기도를 변화시켜 흡연하지 않고 휴식할 때도 호흡수가 증가하게 함. 흡연은 혈관 수축을 일으켜 혈관을 좁아지게 함. 흡연 시 혈압은 올라가고, 흡연 후 15분이 지나면 혈압은 원래 상태로 돌아옴.
② 고혈압 환자로 의심되면 소변 검사, 혈색소 검사(hematocrit), 혈당치, 혈청 전해질(Ca, K), 요산,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심전도, 흉부X-선 검사를 기본적으로 시행함.

2) 치료적 지시
① 니코틴 패치의 사용은 피부를 통해 흡수된 니코틴이 핏속에서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어 금단 증상을 완화함.
② bupropion은 금연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임. 서방형 정제는 금연 시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간 보조요법에 사용됨.

3)교육적 지시
① 염분 섭취 감소, 알코올 제한, 과일, 채소, 저지방 식이 등은 혈압을 저하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② 담배의 각종 독성 물질과 발암 물질은 우리 몸의 모든 세포와 장기에 피해를 줌. 간접 흡연에 노출된 경우에도 폐암, 심장병 및 뇌졸중 발생, 저체중아 출생 위험이 증가함.
출처 - 국민건강지식센터 (snu.ac.kr), "흡연"
- 서울아산병원, "고혈압"
- 네이버 지식백과, ‘니코틴 대체 요법 중 니코틴 패치란?’
- 네이버 지식백과, "지질 검사"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1, 현문사, 2021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2, 현문사, 2021
- 이강이 외,건강사정, ELSEVIER, 2020

 


#2.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만성 통증

#2.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만성 통증
주관적 자료 - “운동하면 통증이 더 악화되어 쉬어도 금방 낫지 않아요.”
- “어떤 날에는 통증이 더 심해지면 쉬고 있는 자세와 상관 없이 아파요.”
- “아침보다 오후가 더 아파요.”
- “두 블록 이상 못 걷겠어요.”
객관적 자료 - Osteoarthritis (+)
- OP : 20년 전 오른쪽 대퇴부 골절로 개방정복고정술(ORIF)
- NRS 통증 척도 점수 : 8점 (위치: 오른쪽 종아리, 오른쪽 엉덩이)
간호 목표 1)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RS 또는 VAS를 이용한 측정 시, 3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2) 장기 목표
- 대상자는 3개월 이내에 운동 시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① PQRST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에 관한 주관적 자료를 수집한다.
② 대상자의 통증을 8시간마다 NRS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③ 대상자의 발목상완지수(ABI)를 측정하여 말초동맥질환 정도를 사정한다.
④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대상자의 관절염을 사정한다.

2) 치료적 지시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NSAIDs를 투여한다.
② 의사의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온열 요법을 실시한다.

3) 교육적 지시
① 대상자에게 진통제 투여와 관련된 건강 교육을 실시한다.
② 대상자에게 NSAIDs 복용 시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① 통증 부위, 통증의 특성, 완화 요인과 악화 요인, 통증의 강도, 통증의 시간적 양상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해야 함.
②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통증 측정 도구는 NRS로, 현재의 통증을 숫자로 점수화하게 되어있음. 이 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어 있으며, 외래에서나 전화로도 통증을 평가할 수 있음.
③ 발목상완지수는 발목과 팔의 혈압을 측정하여 비교한 수치임. 말초동맥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팔보다 다리의 혈압이 낮으므로 ABI 수치가 정상보다 낮게 나옴.
④ 초기에는 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점진적으로 관절 간격의 감소가 나타나며 연골 아래 뼈의 음영이 짙어지는 경화 소견을 볼 수 있음. 더욱 진행되면 관절염의 가장 자리에 뼈가 웃자란 듯한 굴곡이 형성되고 관절 면이 불규칙해짐. 이차성 관절염의 경우 원인이 되는 과거 외상이나 질환의 흔적 혹은 변형 등이 관찰되기도 함.

2) 치료적 지시
① aspirin과 같은 NSAIDs는 류마티스 관절염, 수술 후 통증, 치통, 생리통, 뼈의 통증과 같은 염증을 동반한 통증 완화에 효과적임. 만성 통증은 보통 NSAIDs로 먼저 치료함. 이는 통증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동반 및 악화시키는 염증을 경감할 수 있음.
② 온열 치료는 가장 흔히 이용되는 치료로 운동 요법, 스트레칭, 마사지, 전기 치료 전에 시행함. 적응증으로는 통증, 근육 경련, 관절 구축, 긴장성 근육통, 혈류 감소, 혈종 등이 있으며 온열 치료의 생리적 효과는 결체 조직의 신장도나 혈류 증가, 관절 경직이나 근육 경련 및 통증의 완화, 혈종 흡수 등이 있음.

3) 교육적 지시
① 진통제 투여의 목적과 작용, 부작용, 투여 용량, 간격 등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함. 간호사는 진통제 치료 요법이 대상자의 수면이나 휴식, 식욕, 신체 기동성 또는 운전 능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함을 설명하고, 그러한 문제가 나타나면 의료인에게 알리도록 함.
② NSAIDs 복용 시 위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음식물과 함께 약물을 투여해야 하며 투여량에 주의해야 함. 또한, 비정상 출혈의 징후, 명치 통증이나 오심, 이명이나 청력 상실, 시력 장애 등의 부작용 발생 시 약물 투여를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해야 하며 약물의 가능한 상호작용에 대해 주의해야 함.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생활습관과 건강Ⅱ (평가와 관리)"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1, 현문사, 2021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2, 현문사, 2021
- 이강이 외,건강사정, ELSEVIER, 2020

오늘은 말초동맥질환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인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과 "만성 통증"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그럼 번데기 간호사는 더 유익한 자료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학생 간호사 선생님들, 오늘도 너무 수고하셨어요~~

 

2025.01.08 - [성인간호학] - 말초동맥질환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말초동맥질환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오늘은 말초동맥질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말초동맥질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간호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말

mynews476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