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간호사님의 블로그

급성위장염 간호과정 ㅣ 설사, 피부 통합성 장애 본문

간호과정 (case study)

급성위장염 간호과정 ㅣ 설사, 피부 통합성 장애

번데기 간호사 2025. 1. 25. 10:50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

지난 번에는 아동간호에서 흔한 질환인 급성위장염에 대해 공부해보았는데요.

오늘은 급성위장염을 진단받은 소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과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간호 진단, 관련 요인, 주관적 및 객관적 자료,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까지 알아봅시다.

함께 가보시죠!


급성위장염 간호과정


 

#1. 과다한 장 운동과 관련된 설사

#1. 과다한 장 운동과 관련된 설사
주관적 자료 - “아이가 하루에 몇 번이고 물 같은 대변을 보고 토도 해요.
- 애가 배가 아파서 그러는 건지 자꾸 울고 보채요.
객관적 자료 - Adenovirus (+), Enterovirus (+)
- Stool culture : C.difficile toxin B (+), Noro virus G-II (+)
- 청진간 장이 과다활성 및 장음 지속적으로 청진됨.
- 배변 양상변화 (평소 1/day normal defecation > 4/day diarrhea)
- 배변 Bristol stool scale Type 7, 횟수 7
간호 목표 1) 단기 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대변 횟수가 3/day 이하로 줄어든다.

2)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Bristol stool scale Type 4 형태의 정상변을 12회 이하로 본다.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매일 취침 전 Bristol stool scale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대변 횟수와 변의 양상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복부를 12회 청진한다.

2) 치료적 지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장제를 투여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액제제인 SD1-2주를 투여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경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자극이 없고 섬유소가 적은 음식을 제공한다.


3) 교육적 지시
보호자에게 경구용 재수화 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설사 증상 완화를 위해 대상자가 저섬유식이를 섭취하게 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대장통과시간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는 환아에 있어서 Bristol 대변형태척도를 이용하여 대장통과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임상 진료에 도움이 됨.
정상 장음과 병적 장음을 구별하기 위해 장음을 주의 깊게 들어봄. 복부 팽창, 액체 여부, 단단한 덩어리가 의심될 때 복부를 타진함.

2) 치료적 지시
정장제는 정장 및 설사 증상의 개선 효과가 있는 약물임.
정맥 내 수액요법은 심한 탈수와 구토가 있는 아동에게 필요함. 치료 시작 첫 24시간의 남은 기간 동안 수분과 나트륨 부족을 교정하고 계속되는 체액 손실을 보충해야 함.
  복통에 있어 명확한 진단이 내려지기 전이라 하더라도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여러 진단적인 검사를 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마약성 진통제보다 더 부작용이 적은 진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위장염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자극이 없고 섬유소가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음.


3) 교육적 지시
경구용 재수화요법은 건강관리  에 있어 널리 알려진 중재 중의 하나임. 비경구적 재수화에 비해 더 효과적이며 안전하고 덜 아프고 더 경제적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설사로 인해 탈수가 초래된 대부분의 환자를 위하여 경구 재수화용액을 권고하고 있음.
설사를 하는 경우 저섬유소 음식을 권함.
출처 - 소화기 증상이 있는 환아의 대변표현형, Bristol 대변형태척도 및 대장통과시간검사와의 상관관계」,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8(2), 2005
- 김옥용 외, 「복통환자에 있어 진경제(tiropramide hydrochloride)의 진통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의학회, 15(8), 1994, p.495-502
- 이수연 외,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수문사, 2019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21
- 이강이 외,건강사정, ELSEVIER, 2020

 


#2.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2.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주관적 자료 - “OO이가 설사를 많이 해서 그런지 엉덩이에 발진이 심해요
- 피부 빨개지는 건 자주 기저귀를 열어서 환기해줘야 하나요?”
객관적 자료 - Sacrum redness(3cmx2cm) ( + )
- 배변 양상변화 (평소 1/day normal defecation > 23.12.07 4/day diarrhea)
- 대변 Bristol stool scale Type 7, 횟수 7
간호 목표 1)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대상자 발진 부위의 크기가 3cmx2cm에서 2cmx1cm으로 감소한다.

2)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천골 부근에 발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duty마다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duty마다 대소변을 볼 때마다 기저귀를 교체하는지 확인한다.
매일 대상자의 배변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2) 치료적 지시
대상자의 발진 부위에 피부보호용 크림을 발라준다.
4시간에 한 번씩 발진 부위를 건조시켜 준다.

3) 교육적 지시
보호자에게 병실 내 습기 및 환경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환아의 피부 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기저귀 피부염의 악화요인에 대해서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피부가 젖은 기저귀에 오래 접촉되면 피부의 투과성 증가, 자극증가, 마찰과 찰과상, 세균증식의 증가를 야기해 피부가 손상됨.
기저귀피부염은 접촉피부염의 한 형태로 세균 혹은 진균감염이 수반됨.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지 않거나 모유에서 인공유로 바뀌었을 때, 고형식을 시작할 때 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저귀피부염은 대소변이나 비누, 연고 등에 피부가 장시간으로 반복적으로 자극되어서 나타남. 주된 자극인자는 대소변이지만 그 외 여러 가지 자극 요소가 복합적으로 관여되어 있음.

2) 치료적 지시
기저귀피부염의 초기 발적이 있을 때는 피부를 공기 중에 노출시켜 건조시키고 zinc oxide나 바셀린과 같은 피부보호용 크림을 발라줌.
둔부나 회음부의 피부를 자주 공기 중에 노출시켜 건조하게 하는 것이 좋음.

3) 교육적 지시
기저귀가 찬 부위를 습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발생 부위가 습기가 많고 밀폐된 환경이 되는 것을 피해야 함.
기저귀를 자주 갈아 주어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피부가 젖은 기저귀에 오래 접촉되면 피부의 투과성 증가, 자극증가, 마찰과 찰과상, 세균증식의 증가를 야기해 피부가 손상됨. 이외에도 기저귀와 피부의 직접적인 자극, 대소변의 화학적 자극, 천 기저귀 세탁 시 헹굼 부족, 1회용 기저귀의 화학물질 등에 의해서도 자극됨.
출처 - 서울대학교 병원, "기저귀피부염"
- 이수연 외,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수문사, 2019

오늘은 급성위장염이 있는 소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인 "설사"와 "피부 통합성 장애"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소아 환자의 경우에는 신체사정이 성인 대상자와는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환자를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이 또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ㅎㅎ

 

그럼 저는 더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자료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오늘도 너무 수고하셨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