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설사간호과정
- 간호학과
- 조기양막파열간호과정
- 간호진단
- 여성간호학간호과정
- 아동간호학
- 간호학과공부
- 척추관협착증간호과정
- 근골격계간호과정
- 여성실습간호과정
- 감염의위험간호과정
- 급성통증
- 마비성장폐색
- 여성간호학
- 말초동맥질환간호과정
- 변비간호과정
- 성인실습간호과정
- 간호과정
- NANDA간호진단
- 간호진단목록
- 아동간호학간호과정
- 성인간호학
- 정신실습간호과정
- 급성위장염간호과정
- 장폐색간호과정
- pprom
- 조현병간호과정
- 케이스스터디
- 산후출혈간호과정
- 급성통증간호과정
- Today
- Total
번데기 간호사님의 블로그
말초동맥질환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본문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
오늘은 말초동맥질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말초동맥질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간호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초동맥질환>
: 말초동맥질환(PAD, Peripheral Artery Disease)은 주로 다리와 발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으로,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1) 병태생리
말초동맥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는 혈소판 활성화와 혈전 생성이며, 저밀도지질단백(LDL)의 증가와 고밀도지질단백(HDL)의 감소,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부전, 산화스트레스, 흡연이나 비만 등이 이 질환을 진행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은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2) 원인
말초동맥질환의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 심혈관질환, 혈관 내축적된콜레스테롤(플라크), 합병증(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 비만, 흡연 등이 있습니다. 말초동맥질환은 당뇨병,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위험 인자로 작용합니다.
(3) 증상
말초동맥질환 환자는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사지에 혈액공급이 점차 충분하지 않게 되면 다리에 쥐가 나는 증상을 겪게 되는데, 특히 보행 시나 심한 운동 시 팔과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때 다리가 아파서 걷는 것을 쉬게 되면 잠시 후에는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증세가 가라앉고 또 걸으면 다시 증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파행성 보행증이라고 합니다. 말초동맥질환의 또 다른 증상으로는 예전만큼 멀리 걸을 수 없게 되고, 휴식할 때조차 통증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말초동맥질환이 더욱 진행될 경우 주로 저녁에 가만히 있어도 발허리뼈 밑으로 통증이 일어나게 됩니다. 또 다리털이 없어지게 되고 근육이 퇴화하며, 사지가 차갑고 다리 밑 맥박이 느껴지지 않기도 합니다. 말초동맥질환이 심화되면 외상에 의해 발생된 상처가 낫지 않고 괴사하게 되는 궤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4) 진단
말초동맥질환 여부는 팔에서 측정한 혈압과 발목에서 측정한 혈압의 차이를 비교하는 ABI(동맥협착도 검사)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ABI 지수는 팔에서의 수축기 혈압으로 발목의 수축기 혈압을 나눈 값입니다. [ABI 정상범위 : 0.91~1.3 / 경도 : 0.7~0.9 / 중증도 0.4~0.69 / 중증 : 0.4 미만] 때때로 ABI 수치만으로 말초동맥질환을 진단하는 것이 부정확할 수 있어 duplex 초음파, CT 또는 MRI와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혈관 영상에 있어서 가장 정확한 표준검사는 X-ray 혈관 조영술로서 비교적 침습적이며 조영제에 의한 신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만을 위한 목적보다는 혈관 재개통술이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다.
(5) 치료
가장 우선적으로는 위험인자를 관리하는 것(금연, 혈당조절, 고지혈증 관리, 혈압조절이 중요함)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류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약물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혈관 내 혈전 생성을 막기 위해 항혈소판제제의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외과적 치료 방법으로 혈전 제거수술, 차단된 동맥 우회 수술, 또는 스탠트를 이용한 풍선 확장술을 통해 막힌 혈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간호
- 8시간마다 V/S를 체크합니다.
- 매일 NRS 척도 관찰을 통해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합니다.
-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리를 수평으로 유지하거나 약간 낮은 자세를 취합니다.
- 혈액순환 촉진을 위해 열요법을 실시합니다.
- 흡연 환자라면 금연하도록 교육합니다.
- 발을 잘 관리하며 상처 및 감염을 예방합니다.
- 혈관을 더 좁게 만드는 특정 약을 피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말초동맥질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말초동맥질환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간호과정을 함께 세워보아요!
번데기 간호사는 더 열심히 공부해서 돌아올게요~~
2025.01.09 - [간호과정 (case study)] -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ㅣ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만성 통증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ㅣ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만성 통증
안녕하세요! 번데기 간호사입니다.지난 번에는 말초동맥질환에 대해 공부해보았는데요.오늘은 말초동맥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과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간호 진단,
mynews4760.tistory.com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0) | 2025.01.23 |
---|---|
척추관 협착증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3) | 2025.01.21 |
장폐색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2) | 2025.01.13 |
위암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4) | 2025.01.11 |
위궤양이란? ㅣ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2) | 2025.01.07 |